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399

한글패치 버전 1.2008.01.26 입니다. 아래는 한글 패치 제작자 banx 님의 글을 그대로 퍼온것입니다. 한글패치 버전 1.2008.01.26 입니다. 배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 [v1.2008.01.26] - 신규 프로젝트 작성시에 대사창에 'x00'이 출력되던 버그 수정판을 포함시킴 - 이벤트 발생 조건의 표기를 '조건'에서 '발생 조건'으로 교체 - 이벤트 명령어 '전투 행동의 강제'를 '전투 행동의 강제 제어'로 교체 - 데이터 베이스 > 액터 탭의 '약의 지식'을 '회복약 효과 2배'로 교체 - 데이터 베이스 > 몬스터 탭의 글자가 잘리던 부분을 복구 - 변수의 조작 창에서 '캐릭터'의 표기를 '이벤트'로 수정 - 조건 분기 창에서 '캐릭터'의 표기를 '이벤트'로 수정 - 버전 확인창에 버전을 표기 - 기타 자잘한 몇 가지 수정 2008. 1. 27.
RPG XP의 Transitions효과를 VX에도 적용을 해보자 우선 Transitions효과란 위의 처럼 장면전환 효과정도로 볼수있다 ^^ 우선 스크립트는 아래의 text파일을 참고하시구요. 게임에 적용된 예제파일은 아래 파일입니다. 자 그럼 사용법을 설명해드리죠. 스크립트는 Main섹션 위쪽에 추가를 하시면 되구요. Transitions효과를 주는 그래픽을 우선 준비해주셔야되는데요. 첨부된 게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. Graphics/Transitions 폴더에 저장을 하셔야되구요. 게임에서 장면전화 효과를 줄때는 이벤트 커맨드에 스크립트를 추가하셔야되는데요. $game_system.transition = "파일명" 여기서 "파일명"은 Transitions그래픽의 파일명이 되겠습니다. 예를들자면... 001-Blind01.PNG 2008. 1. 27.
rpg 만들기 vx - 맵이름 띠우는 스크립트 ^^ rpg 만들기 vx - 맵이름 띠우는 스크립트 ^^ 위의 그림처럼 맵에 들어가게 되면 맵이름을 띠우는 스크립트입니다. 맵이름에 따라서 뜨는 이름이 바뀌니 맵이름에 주의해서 작성하세요 ^^ 그리고 위의 그래픽의은 Graphics/System 폴더에 넣어주시구요 그림파일의 이름은 Mpname.png로 하셔야됩니다. 위의 파일은 적용된 게임입니다. 아래는 스크립트 파일 ^^ 2008. 1. 27.
반응형